생애주기 주제분류 항목 개요
1. 출생ㆍ출계
- 출생장소가 본가, 외가인 기사와 양자로 가거나 양자를 들인 기사
- 1) 본가(本家) : 출생장소가 본가인 기사
- 2) 외가(外家) : 출생장소가 외가인 기사
- 3) 양자(養子) : 양자로 출계한 기사를 분류, 양자를 들인 경우는 대상을 '기타'로 분류
- 4) 기타 : 그 외 출생, 출계 기사
2. 관례ㆍ혼례
- 관례와 혼례 기사
- 1) 관례(冠禮) : 관례를 치르거나 참여한 기사
- 2) 초혼(初婚) : 혼례 관련 기사 중 초혼 기사
- 3) 재혼(再婚) : 혼례 관련 기사 중 재혼 기사
- 4) 삼혼(三婚) : 혼례 관련 기사 중 삼혼 기사
- 5) 측실(側室) : 혼례 관련 기사 중 측실, 부실, 후실이 명시된 기사
- 6) 왕실혼례(王室婚禮) : 왕실 인물과 혼인한 기사를 분류, 혼례 기사와 중복 분류
3. 학문수학
- 가정, 교육기관, 스승 등 학문수학 기사
- 1) 가족(家族) : 부모, 조부모, 외조부 등 친인척으로부터 수학한 기사
- 2) 교육기관(敎育機關) : 성균관, 서원, 서당 등 교육기관에서 수학한 기사
- 3) 국내유학(國內遊學) : 국내의 스승에게 수학한 기사
- 4) 외국유학(外國遊學) : 국내 유학을 제외한 타국의 사람이나 교육기관에 유학한 기사
- 5) 과거공부(科擧工夫) : 과거시험을 위해 공부한 기사
- 6) 기타 : 그 외 학문수학 기사
4. 과거시험
- 관리를 선발하기 위해 나라에서 치르는 과거시험과 관련 있는 기사. 방목 등 과거합격 정보가 있는 경우, 하위 분류 명칭은 이를 따르고, 합격정보를 확인할 수 없을 때는 행력기사의 표현을 따름
- 1) 식년시(式年試)_소과(小科) : 식년에 치러진 생원진사 시험인 사마시와 관련한 기사
- 2) 식년시(式年試)_대과(大科) : 식년에 치러진 문과(文科), 무과(武科) 시험과 관련한 기사
- 3) 식년시(式年試)_잡과(雜科) : 식년에 치러진 율과(律科), 역과(譯科) 등 기술관 시험과 관련한 기사
- 4) 증광시(增廣試)_소과(小科) :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치러진 사마시를 분류
- 5) 증광시(增廣試)_대과(大科) :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치러진 문과, 무과 시험을 분류
- 6) 증광시(增廣試)_잡과(雜科) : 나라에 경사가 있을 때 치러진 율과(律科), 역과(譯科) 등 기술관 시험에 합격하거나 관련 있는 기사
- 7) 별시(別試) : 특별시험은 모두 별시로 분류하되 증광시, 알성시, 정시 등 분류 항목이 있는 경우는 해당 항목으로 분류
- 8) 정시(庭試) : 사학(四學)이나 성균관의 유생들을 대상으로 치러진 제술이나 강경 시험과 관련 있는 기사
- 9) 알성시(謁聖試) : 성균관 문묘에서 작헌례를 한 다음에 실시한 문과(文科), 무과(武科) 시험에 합격한 기사
- 10) 중시(重試) : 10년에 한 번씩 문무과 급제자로서 관직에 나가지 못했거나, 당하관 관료를 대상으로 실시한 시험에 합격하거나 관련된 기사
- 11) 절제(節製) : 인일(人日)ㆍ상사(上巳)ㆍ칠석(七夕)ㆍ중양(重陽)에 실시한 시험에 합격하거나 관련된 기사
- 12) 응제(應製) : 절제 외에 관학유생에게 보인 제술 시험에 합격하거나 관련된 기사
- 13) 탁영시(擢英試) : 1538년(중종 33) 9월 문무 현직관리를 대상으로 실시한 시험에 합격하거나 관련된 기사
- 14) 발영시(拔英試) : 1466년(세조 12)에 현직 중신과 문무관료를 대상으로 실시한 임시 시험에 합격하거나 관련된 기사
- 15) 춘도기(春到記) :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봄에 실시한 특별 시험에 입격한 기사
- 16) 추도기(秋到記) : 성균관 유생을 대상으로 가을에 실시한 특별 시험에 입격한 기사
- 17) 기로과(耆老科) : 1772년(영조 48), 1776년(영조 52)에 실시한 기로정시(耆老庭試)에 합격한 기사
- 18) 등준시(登俊試) : 1466년(세조 12)과 1774년(영조 50)에 실시한 특별 시험에 합격한 기사
- 19) 현량과(賢良科) : 조광조(趙光祖)의 건의에 따라 1519년(중종 14)에 실시한 시험에서 합격한 기사
- 20) 고려사마(高麗司馬) : 고려시대에 실시한 사마시에 합격하거나 관련된 기사
- 21) 고려문과(高麗文科) : 고려시대에 실시한 문과에 합격하거나 관련된 기사
- 22) 기타 : 그 외 과거시험 기사
5. 관직제수
- 관직을 제수 받거나 의망, 천거된 기사
- 1) 경관직(京官職) : 경국대전 등 조선시대 법령자료에서 경관직으로 정의된 관직을 분류. 하위 분류는 품계로 분류. 정3품은 당상과 당하를 구분하여 분류하되, 당상과 당하를 구분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정3품으로 분류
- ① 정1품(正一品) : 의정부의 삼정승, 종친부의 군, 각 관서의 영사, 도제조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② 종1품(從一品) : 의정부의 좌우 찬성, 돈녕부의 판사, 종1품 아문 관서의 제조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③ 정2품(正二品) : 의정부의 좌우 참찬, 육조의 판서, 한성부의 판윤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④ 종2품(從二品) : 의금부의 동지사, 육조의 참판, 사헌부 대사헌, 개성부 유수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⑤ 정3품(正三品) : 고려시대 이부 상서 등 정3품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⑥ 정3품 당상(正三品堂上) : 돈녕부의 도정, 육조의 참의, 승정원의 승지, 승정원 대사성, 사간원 대사간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⑦ 정3품 당하(正三品堂下) : 돈녕부의 정, 세자시강원 보덕, 오위 상호군, 성균관 좨주, 예문관 직제학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⑧ 종3품(從三品) : 돈녕부 부정, 오위 대호군, 성균관 사성, 사헌부 집의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⑨ 정4품(正四品) : 경연 시강관, 세자시강원 필선, 오위 상호군, 성균관 사예, 사헌부 장령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⑩ 종4품(從四品) : 의금부 경력, 한성부 서윤, 규장각 직각, 홍문관 부응교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⑪ 정5품(正五品) : 의정부 검상, 육조의 정랑(正郞), 오위 사직, 사간원 헌납, 사헌부의 지평, 홍문관의 교리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⑫ 종5품(從五品) : 돈녕부 판관, 한성부 판관, 오위도총부 도사, 규장각 직각, 교서관 교리, 홍문관 부교리, 각 능(陵)ㆍ원(園)의 영(令)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⑬ 정6품(正六品) : 육조의 좌랑, 성균관 전적, 사간원 정언, 정6품아문 장원서의 장원, 별제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⑭ 종6품(從六品) : 돈녕부 주부, 비변사 낭청, 의금부 참상도사, 홍문관 부수찬, 한학교수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⑮ 정7품(正七品) : 한성부 참군, 규장각 대교, 성균관ㆍ교서관ㆍ홍문관 박사, 승정원 주서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⑯ 종7품(從七品) : 돈녕부 직장, 오위의 부사정, 춘추관 기사관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⑰ 정8품(正八品) : 의정부의 사록, 규장각ㆍ예문관 대교, 교서관ㆍ홍문관 저작, 성균관 학정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⑱ 종8품(從八品) : 돈녕부 봉사, 의금부 참외도사, 춘추관 기사관, 오위 부사맹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⑲ 정9품(正九品) : 성균관 학록, 교서관ㆍ홍문관 정자, 예문관 검열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⑳ 종9품(從九品) : 돈녕부 참봉, 수원부ㆍ광주부 검률, 성균관 학유, 오위의 부사용, 예빈시 참봉, 각 능(陵)ㆍ원(園)의 참봉 등의 관직에 제수된 기사
- ㉑ 기타 : 그 외 경관직 기사
- 2) 외관직(外官職) : 경국대전 등 조선시대 법령자료에서 외관직으로 정의된 관직을 분류. 하위 분류는 관직명으로 분류
- ① 관찰사(觀察使) : 종2품 관찰사에 제수된 기사. 도관찰출척사(都觀察黜陟使) 포함
- ② 부윤(府尹) : 종2품 부윤에 제수된 기사
- ③ 목사(牧使) : 정3품 목사에 제수된 기사. 판목사 포함
- ④ 부사(府使) : 정3품 대도호부사(大都護府使), 종3품 도호부사(都護府使)에 제수된 기사
- ⑤ 군수(郡守) : 종4품 군수(郡守)에 제수된 기사. 지군사(知郡事)도 포함
- ⑥ 도사(都事) : 종5품 도사(都事)에 제수된 기사
- ⑦ 판관(判官) : 종5품 판관(判官)에 제수된 기사
- ⑧ 현령(縣令) : 종5품 현령(縣令)에 제수된 기사
- ⑨ 감무(監務) : 고려, 조선 초기 6품관 감무(監務)에 제수된 기사. 현감(縣監)의 전신
- ⑩ 찰방(察訪) : 종6품 찰방(察訪)에 제수된 기사
- ⑪ 현감(縣監) : 종6품 현감(縣監)에 제수된 기사
- ⑫ 훈도(訓導) : 종9품 훈도(訓導)에 제수된 기사
- ⑬ 유후(留後) : 유후(留後)에 제수된 기사
- ⑭ 만호(萬戶) : 만호(萬戶)에 제수된 기사
- ⑮ 사록(司錄) : 고려시대 지방관의 하나인 사록(司錄)에 제수된 기사. 조선시대 의정부의 사록은 '경관직-정8품'으로 분류
- ⑯ 안렴사(按廉使) : 안렴사(按廉使)에 제수된 기사
- ⑰ 절도사(節度使) : 절도사(節度使)에 제수된 기사. 병마절도사(兵馬節度使), 수군절도사(水軍節度使) 포함
- ⑱ 첨사(僉使) : 첨사(僉使)에 제수된 기사
- ⑲ 태수(太守) : 태수(太守)에 제수된 기사
- ⑳ 통판(通判) : 통판(通判)에 제수된 기사
- ㉑ 평사(評事) : 평사(評事)에 제수된 기사
- ㉒ 감목관(監牧官) : 감목관(監牧官)에 제수된 기사
- ㉓ 진무사(鎭撫使) : 진무사(鎭撫使)에 제수된 기사
- ㉔ 첨절제사(僉節制使) : 첨절제사(僉節制使)에 제수된 기사
- ㉕ 기타 : 그 외 외관직 기사
- 3) 음관직(蔭官職) : 과거시험을 거치지 않고 조상의 공덕으로 관직을 제수 받은 기사
- 4) 임시직(臨時職) : 비상설 관사인 도감(都監) 등의 관직이나, 사신, 서장관, 임시 지방관 등과 관련된 기사
- 5) 의망(擬望) : 관료 후보로 추천하거나 추천 받은 기사
- ① 홍문록(弘文錄) : 홍문록에 의망되거나 홍문록에 의망되어 뽑힌 기사
- ② 이조록(吏曹錄) : 이조록에 의망되거나 이조록에 의망되어 뽑힌 기사
- ③ 도당록(都堂錄) : 도당록에 의망되거나 도당록에 의망되어 뽑힌 기사
- ④ 한림권점(翰林圈點) : 한림권점에 의망되거나 한림권점에 의망되어 뽑힌 기사
- ⑤ 문형회권(文衡會圈) : 문형회권에 의망되거나 문형회권에 의망되어 뽑힌 기사
- ⑥ 기타 : 그 외 의망 기사
- 6) 천거(薦擧) : 천거를 받은 경우는 '본인'으로, 천거를 한 경우는 '기타'로 분류
- 7) 사직(辭職) : 제수나 천거를 받은 관직을 사양하거나 사직한 기사. 사직상소를 올린 기사는 '정치활동-진계'로 분류
- 8) 치사(致仕) : 관직을 그만두거나 70세가 되어서 관직을 물러나는 기사
- 9) 봉작(封爵) : 종친, 공신으로서 군(君)에 봉해지거나 부친 사망 후에 승습 받은 기사
- 10) 기타 : 그 외 관직제수 기사
6. 정치활동
- 관리로서 상소를 올리거나 왕의 명을 받들어 행하는 기사를 분류. 정치적으로 비호하거나 배척하는 기사도 포함
- 1) 입시(入侍) : 경연(經筵), 차대(次對)에 참여하거나 왕을 호종(護從)한 기사
- 2) 진계(陳啓) : 상소, 차자, 계사, 상서, 청언(請言), 권면, 보고 등 임금에게 문서로 올리거나 말로 아뢴 기사
- 3) 찬진(撰進) : '찬진'이 들어간 기사. 기타 임금에게 글을 지어서 올린 기사
- 4) 배척(排斥) : 배척한 기사. 배척 받은 경우 대상을 '기타'로 분류
- 5) 비호(庇護) : 비호한 기사. 비호 받은 경우 대상을 '기타'로 분류
- 6) 논의(論議) : 정치나 제도 등에 대해 논의한 기사
- 7) 모의(謀議) : 반정 등을 모의한 기사
- 8) 외교활동(外交活動) : 외국으로 사신을 가거나 사신을 응대하는 등의 기사
- 9) 봉명활동(奉命活動) : 왕명에 의해 행한 활동을 분류. 왕명으로 문장을 지어 올린 경우, '정치활동-찬진'으로 중복 분류
- 10) 호국활동(護國活動) : 의병, 거병, 출전(出戰) 등 호국 관련 기사. 성을 쌓는 등 국방과 관련된 기사 포함
- 11) 애민활동(愛民活動) : 진휼 등 애민활동에 관련된 기사
- 12) 의례활동(儀禮活動) : 왕실의 관례, 혼례, 상례, 제례 등에 참석하거나 진행한 기사
- 13) 제도정비(制度整備) : 법을 제정하거나 폐단을 혁파하는 등에 관한 기사
- 14) 인재선발(人材選拔) : 시관이 되어 합격자를 선발한 기사. 시관으로 제수된 내용만 있는 경우 '관직제수-임시직'으로 분류
- 15) 옥사(獄事) : 역모 등 중대한 범죄를 다스린 옥사에 연루되거나 참여한 기사
- 16) 암행(暗行) : 암행어사로 임명되어 활동한 기사. 암행어사에 제수된 내용만 있는 기사는 '관직제수-임시직'으로 분류
- 17) 복명(復命) : 사행을 다녀온 후, 암행을 하거나, 지방에서 특수 임무를 수행하고 난 뒤에 복명한 기사
- 18) 대명(待命) : 대명(待命)한 기사
- 19) 대죄(待罪) : 대죄(待罪)한 기사
- 20) 기타 : 그 외 정치활동 기사
7. 사회활동
- 저자와 스승, 문인들간의 교유에 관한 기사
- 1) 결사(結社) : 단체나 모임을 만들거나 참여한 기사. 수계(修契)도 포함
- 2) 교유(交遊) : 교유(交遊)한 기사
- 3) 문안(問安) : 부모, 스승 등 어른을 방문한 기사
- 4) 문병(問病) : 방문 기사 중 특별히 병문안과 관련 있는 기사
- 5) 방문(訪問) : 문안, 문병 이외의 모든 방문 기사
- 6) 배알(拜謁) : 사람이나 서원 등 기사에 '배알'이라고 표현된 기사
- 7) 배행(陪行) : 어른을 모시거나 따라가는 기사
- 8) 서신왕래(書信往來) : 편지를 통해 질의, 토론 등 학문활동을 하거나 기타 편지를 주고받은 기사
- 9) 선물(膳物) : 서책[册], 문방구 등 물품과 그림, 축하시 등 작품을 주고받은 기사. 선물을 받은 경우 대상을 '기타'로 분류
- 10) 송별(送別) : 사신을 가거나 임지로 출발하거나, 유람 또는 유배지로 떠나는 사람을 전송하는 기사. 송별시와 같은 제목이 있는 경우는 '기타활동-저술'로 중복 분류
- 11) 시회(詩會) : 단체나 모임 중에서 특별히 시회, 문회(文會) 관련 기사
- 12) 조문(弔問) : 상사로 분류된 기사 외에 스승이나 관련인물의 상사, 부음, 조문 기사
- 13) 종유(從遊) : '종유(從遊)'가 들어간 기사
- 14) 참배(參拜) : 서원(書院), 사우(祠宇), 묘소 등 기사에 '참배'라고 표현된 기사
- 15) 기타 : 그 외 사회활동 기사
8. 기타활동
- 독서, 저술, 유람, 건축 등 정치활동과 사회활동 이외의 활동을 분류
- 1) 은거(隱居) : 관직에서 물러나거나 산사, 향리 등에서 우거한 기사
- 2) 유람(遊覽) : 명승지, 서원 등을 유람한 기사. 뱃놀이 등도 포함. 유람 후 저술이 있는 경우 '기타활동-저술'로 중복 분류
- 3) 독서(讀書) : 책을 읽은 기사. 어려서 학문수학을 위해 읽은 경우도 포함
- 4) 건축(建築) : 별서, 누정, 서원 등 공적이거나 사적인 건축과 관련 있는 기사. 사후 문집저자를 향사하기 위해 사우, 서원을 건축하거나 중수한 경우는 '사후-향사'로 분류
- 5) 저술(著述) : 책을 쓰거나 시, 서문, 유람기 등 글을 짓는 기사. 구체적인 작품명이 없는 기사도 포함
- 6) 호국(護國) : 의병 등 관료가 아닌 신분으로 활동한 호국 관련 기사. 관직에 있을 때의 호국활동은 '정치활동-호국활동'으로 분류
- 7) 이사ㆍ이동(移徙移動) : 이사하거나 임지로 떠나는 가족을 따라가거나, 이동한 기사
- 8) 학문연구(學文硏究) : 강학, 강회, 강독, 질정 등의 기사. 강학이나 강회가 후학양성의 성격을 띤 경우 '기타활동-후학양성'으로 분류
- 9) 후학양성(後學養成) : 서당이나 서원과 같은 교육기관에서 강학하거나 찾아온 제자를 교육하는 기사
- 10) 의례활동(儀禮活動) : 향음주례와 같은 향촌의례, 상례와 제례 관련 기사. 심상(心喪)도 포함
- 11) 편찬간행(編纂刊行) : 문집, 족보, 역사서, 지방지 등을 편찬하거나 간행한 기사
- 12) 부모봉양(父母奉養) : 부모 봉양과 관련 있는 기사. 부모 봉양을 위하여 지방수령을 자원하는 기사는 '관직제수'로 중복 분류
- 13) 피란(避亂) : 전염병, 내란, 전쟁 등을 피해 이동한 기사
- 14) 귀향(歸鄕) : 사직 후 향리나 집으로 돌아간 기사
- 15) 요양(療養) :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요양한 기사
- 16) 기타 : 그 외 기타활동 기사
9. 상벌
- 나라로부터 상이나 벌을 받는 기사
- 1) 공신(功臣) : 공신호를 받는 기사. 저자 사후에 공신호를 받는 경우는 '사후-추록'으로 분류
- 2) 청백리(淸白吏) : 염근인(廉謹人) 등 청백리에 뽑히거나 관련 있는 기사
- 3) 기로소(耆老所) : 기로소에 들어간 기사
- 4) 사가독서(賜暇讀書) : 독서당(讀書堂), 호당 등 사가독서를 하거나 관련 있는 기사
- 5) 초계문신(抄啓文臣) : 초계문신으로 선발된 기사
- 6) 하사품(下賜品) : 서책[册], 말[馬], 전답(田畓), 궤장(几杖) 등 물품 외에 어제시 등도 포함
- 7) 승자(陞資) : 동반과 서반 관계(官階)의 자급(資級)이 오른 기사. 가자(加資), 승품(陞品), 초자(超資)
- 8) 서용(敍用) : 벌을 받은 다음에 관직에 다시 제수하는 기사를 분류.
- 9) 정려(旌閭) : 충신, 효자로서 정문(旌門)을 세워 표창 받은 기사나 관련 있는 기사. 사후에 정려 받은 기사는 '사후-정려'로 분류
- 10) 추고(推考) : 업무상 과실이나 근무 태만 등에 대한 주의와 경계를 목적으로 한 처벌을 받은 기사
- 11) 문비(問備) : 문비(問備)의 처벌을 받은 기사
- 12) 면직(免職) : 처벌의 성격을 띤 체차(遞差)와 해면 등도 포함
- 13) 출보(黜補) : 출보(黜補) 당한 기사
- 14) 태거(汰去) : 파직(罷職)이나 삭직(削職) 등과는 달리 직임에서 쫓겨나는 기사
- 15) 강등ㆍ강자(降等降資) : 강등, 좌천, 자급이 내려진 기사
- 16) 파직(罷職) : 벌로서 파직된 기사
- 17) 국문(鞫問) : 국문을 받은 기사. 나국(拿鞫), 추국(推鞫), 삼성 추국(三省推鞫) 등 포함
- 18) 삭직(削職) : 삭직(削職)된 기사
- 19) 파직불서(罷職不敍) : 관직을 파하고 등용하지 않는 파직불서(罷職不敍)의 처벌을 받은 기사
- 20) 영불서용(永不敍用) : 중죄를 지어 관직제수를 받지 못하는 영불서용(永不敍用)의 처벌을 받은 기사
- 21) 탈고신(奪告身) : 고신(告身), 직첩(職牒)을 환수 및 몰수 당한 기사
- 22) 삭거사판(削去仕版) : 관리의 명부인 사판(仕版)에서 초사(初仕) 이후의 모든 기록을 삭제한 처벌을 받은 기사
- 23) 삭탈관작(削奪官爵) :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관리의 명부에서 이름을 지우는 처벌을 받거나 관련 있는 기사
- 24) 문외출송(門外黜送) : 관직을 빼앗고 도성 밖으로 추방하는 형벌을 받은 기사
- 25) 전가사변(全家徙邊) : 가족과 함께 평안도나 함경도의 변방으로 강제 이주시키는 형벌을 받은 기사
- 26) 중도부처(中途付處) : 평소의 공로가 참작되어 비교적 가까운 곳에서 가족과 함께 모여 살 수 있는 형벌을 받은 기사
- 27) 삭출(削黜) : 삭탈관작(削奪官爵)과 문외출송(門外黜送)의 형벌을 받거나 관련 있는 기사
- 28) 방축(放逐) : 벼슬과 품계를 빼앗고 고향으로 쫓겨나는 형벌을 받거나 관련 있는 기사. 방귀전리(放歸田里), 방축향리(放逐鄕里) 등
- 29) 금고(禁錮) : 벼슬길을 막는 형벌을 받은 기사. 종신금고(終身禁錮)도 포함
- 30) 투옥(投獄) : 의금부에 하옥되거나 관련 있는 기사
- 31) 정배(定配) : 도배(徒配), 유배(流配) 등의 형벌을 받거나 관련 있는 기사
- 32) 해배(解配) : 정배(定配)에서 풀려난 기사. 방송(放送) 포함
- 33) 충군(充軍) : 벌로서 군역에 복무하게 된 기사
- 34) 태형(笞刑) : 벌로서 작은 형장(荊杖)을 받는 기사
- 35) 장형(杖刑) : 장형을 받거나 관련 있는 기사
- 36) 사형(死刑) : 사사(賜死), 참형(斬刑) 등의 형벌을 받거나 관련 있는 기사
- 37) 종편(從便) : 형벌을 받은 사람이 원하는 곳에서 거처하게 된 기사. 경외 종편(京外從便) 등 포함
- 38) 사면(赦免) : 죄를 용서하여 형벌을 면해주는 기사
- 39) 기타 : 그 외 상벌 기사
10. 상사
- 친상, 형제상 등 저자의 가족, 친인척 등의 상사를 분류
- 1) 부친상(父親喪) : 문집저자의 생부, 양부의 상
- 2) 모친상(母親喪) : 문집저자의 생모, 양모, 계모의 상
- 3) 부인상(婦人喪) : 문집저자의 아내의 상
- 4) 조부모상(祖父母喪) : 문집저자의 조부모와 외조부모, 증조부모의 상
- 5) 형제상(兄弟喪) : 문집저자의 형제의 상. 사촌 이상은 가족상으로 분류
- 6) 자녀상(子女喪) : 문집저자의 자녀상
- 7) 가족상(家族喪) : 그 외 상사 기사와 친인척상 기사
11. 사후
- 저자 사후에 나라로부터 증직, 증시, 장례 시 예우 등을 분류
- 1) 사망(死亡) : 사망 관련 기사
- ① 요절(夭折) : 20세 이전에 사망한 기사
- ② 자연사(自然死) : 사망의 특별한 까닭이 없이 노쇠하여 자연히 사망한 기사
- ③ 병사(病死) : 병으로 사망한 기사
- ④ 자결(自決) : 자결한 기사
- ⑤ 전사(戰死) : 전쟁에서 사망한 기사
- ⑥ 의사(義死) : 의를 위하여 사망한 기사
- ⑦ 순절(殉節) : 충절(忠節)이나 정절(貞節)을 지키기 위하여 사망한 기사. 순국(殉國)을 포함
- ⑧ 옥사(獄死) : 옥중에서 사망한 기사
- ⑨ 처형(處刑) : 사사(賜死), 효수(梟首) 등의 형벌에 처해져 사망한 기사
- ⑩ 기타 : 그 외 사망 기사
- 2) 장례(葬禮) : 사후 장사(葬事)와 관련된 기사
- ① 치제(致祭) : 임금이 죽은이의 제사를 지내주는 기사. 제문을 지어 보내거나 신하를 보내 제사를 지내주는 경우도 포함
- ② 치부(致賻) : 임금이 관곽(棺槨) 등 장례용품을 내려준 기사
- ③ 철조(輟朝) : 임금이 죽은이를 애도하여 조회와 알현을 멈춘 기사
- ④ 장사(葬事) : 장사를 지낸 기사
- 3) 향사(享祀) : 종묘, 문묘, 서원 등에 배향 또는 향사한 기사. 저자의 사당이 세워지거나 영정이 봉안된 기사도 포함
- 4) 복관(復官) : 사후 복관된 기사
- 5) 추록(追錄) : 사후 공신에 추록된 기사
- 6) 증시(贈諡) : 사후 시호를 받거나 시호 관련 기사. 추존 포함
- 7) 증직(贈職) : 품계와 벼슬이 추증된 기사
- 8) 봉작(封爵) : 봉작호를 받거나 관련 있는 기사
- 9) 추율(追律) : 사후에 반역죄 등의 죄로 처벌을 받은 기사
- 10) 출향(黜享) : 종묘, 문묘, 서원 등에서 위패를 없앤 기사
- 11) 추탈(追奪) : 훈적(勳籍)이나 관작(官爵) 등이 삭탈된 기사
- 12) 기시(棄市) : 효수(梟首), 기시(棄市)의 벌을 받은 기사
- 13) 정려(旌閭) : 사후에 정려 받은 기사. 생존 시 저자 이외의 정려는 '상벌-정려'로 분류
- 14) 부관참시(剖棺斬屍) : 부관참시(剖棺斬屍)의 처벌을 받은 기사
- 15) 기타 : 그 외 장례 기사
12. 문집간행
- 저자 생존 또는 사후에 문집을 간행하기 위한 준비과정, 간행 차수에 관한 기사
- 1) 생전(生前) : 저자 생존 시 문집이 간행된 기사
- 2) 사후(死後) : 저자 사후 문집이 간행된 기사
- ① 명찬(命撰) : 왕의 명에 의해 문집이 간행된 기사
- ② 편차(編次) : 유문을 수집하고, 간행을 위한 모임을 갖는 등 문집을 간행하기 위한 여러 활동 기사
- ③ 초간(初刊) : 문집을 초간한 기사. 문집 이외의 자료는 기타활동-편찬간행으로 분류하고 대상을 '기타'로 분류
- ④ 중간(重刊) : 문집을 중간한 기사. 행력기사에 중간이라고 기술되어 있어도 삼간, 사간일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 분류
- ⑤ 삼간(三刊) : 문집을 삼간한 기사
- ⑥ 사간(四刊) : 문집을 사간한 기사
- ⑦ 오간(五刊) : 문집을 오간한 기사
- ⑧ 육간(六刊) : 문집을 육간한 기사
- ⑨ 칠간(七刊) : 문집을 칠간한 기사
- ⑩ 개간(改刊) : 문집을 개간, 개각한 기사
- ⑪ 보간(補刊) : 문집을 보간, 보각(補刻)한 기사
- ⑫ 복간(復刊) : 문집을 복간, 복각한 기사
- ⑬ 추간(追刊) : 문집을 추간, 추각한 기사
- ⑭ 국역(國譯) : 문집의 국역본을 간행한 기사
- ⑮ 기타 : 위 항목에 속하지 않은 증보, 속집의 초간, 문집이 아닌 다른 저술의 간행 등을 분류
13. 기타
- 사건, 사고, 이름을 고치거나, 자, 호, 당호 등 이름을 짓는 활동을 분류
- 1) 개명(改名) : 이름을 바꾼 기사
- 2) 작명(作名) : 이름 이외에 자, 호, 당호 등 이름을 짓는 활동과 관련 있는 기사
- 3) 사건ㆍ사고(事件事故) : 전쟁, 화재 등 사건, 사고를 분류